Article

의학도서관 뉴스레터 발행 현황에 관한 고찰

박재옥1, 김미영2,*
Jae-ok Park1, Mi-Young Kim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중앙보훈병원 의학도서실
2고려대학교 의학도서관
1VHS Medical Center, Seoul
2Korea University Medical Library,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Jae-ok Park, VHS Medical Center, 53, Jinhwangdo-ro 61-gil, Gangdong-gu, Seoul 05368, Korea, Tel: 82-2-2225-1784, Fax: 82-2-2225-1656, E-mail: yeoul@bohun.or.kr

© Copyright 2024 The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Dec 10, 2024; Revised: Dec 20, 2024; Accepted: Dec 20, 2024

Published Online: Dec 31, 2024

Abstract

A Medical Library is a specialized library that deals with a specific field of medicine, and unlike public libraries that provide cultural educ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services, it is a library that provides specialized information and research support services. Medicine, which is ever-changing and sensitive to the latest information, always needs changes in research trends and new information resources, and users’ needs are also changing very quickly in line with th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ublishing status of medical libraries and hospital libraries that publish newsletters based on member institutions of the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and learn about the difficulties in publishing newsletters.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help libraries that want to produce newsletters by introducing a platform that will help them continue to publish and promote newsletters in the future. [J Korean Med Libr Assoc 2024;51(1):50-56]

Keywords: Medical Library; Hospital Library; Webzine; Newsletter; Public Relations

서론

의학도서관은 의과대학이나 병원에 설치되어 의료진들의 학술 및 연구활동을 지원하는 다양한 전문정보 서비스를 수행하며, 『도서관법』에서 전문도서관으로 분류된다. 『도서관법』[1]에 따르면 전문도서관이라 함은 그 설립 기관·단체의 소속 직원 또는 공중에게 특정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을 말하는 것으로, 의학도서관은 전문도서관에 가장 부합하는 도서관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학도서관협회는 1968년에 발족하여 의학도서관 회원기관들간 상호협력을 기반으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치며, 의료계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는 학술협회로 기초적인 의학용어 교육과 워크샵 및 학술대회를 통하여 의학도서관에 종사하는 사서들에게 양질의 교육과 연구관련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한국의학도서관협회는 전문 학술지인 ‘한국의학도서관협회지’와 회원들간의 소식지인 ‘Medical Librarian’을 발간하고 있으며, 그 중 ‘Medical Librarian’은 1999년에 창간하여 회원기관들의 근황과 회원동향 등 기관들의 주요 소식들을 전해왔다. 한국의학도서관협회는 2024년 홈페이지 개편과 더불어 Medical Librarian을 온라인 뉴스레터 형식으로 전환하여 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회원도서관을 대상으로 소식지 또는 뉴스레터 발간 현황을 조사하고, 지속적인 발간을 위한 도서관 홍보방법을 제언하고자 한다.

의학도서관과 뉴스레터

1. 국내 의학도서관의 뉴스레터 발행현황

정보환경의 변화로 도서관을 둘러싼 환경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라 도서관을 홍보하고 서비스를 알리는 방법 또한 매체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뉴스레터는 도서관 홍보방법 중 하나로 전통적으로는 책자형식으로 주로 발간되었으나, 웹의 발전과 접근성, 비용 등의 문제로 온라인으로 전환하여 기관의 홍보와 제공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있다. 그 명칭 또한 웹진, 소식지, 뉴스레터 등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뉴스레터로 통일하고자 한다.

이번 조사는 한국의학도서관협회의 51개 대학도서관, 88개 병원도서관, 그리고 13개 연구소도서관 총 152개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24년 10월 현재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있는 도서관은 총 13개(8.5%) 기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세부 관종별로 살펴보면 대학도서관이 9곳(69.2%), 병원도서관이 2곳(15.4%), 연구소 도서관이 2곳(15.4%)으로 확인되었다.

표 1. 한국의학도서관협회 회원도서관 뉴스레터 서비스 현황
번호 구분 기관명 소식지명 간기 형태 서비스기간
1 대학도서관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도서관[2] 도서관소식지 계간 온라인 2019∼
2 대학도서관 고려대학교 의학도서관[3] KUML Insight - PDF 2024∼
3 대학도서관 경희의료원 의학도서실[4] 뉴스레터 월간 PDF 2022∼
4 대학도서관 서울대학교 의학도서관[5] 도서관소식 부정기 PDF 2021∼
5 대학도서관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문헌정보센터[6] 뉴스레터 월간 온라인 2015∼2021
6 대학도서관 울산대학교 아산의학도서관[7] 도서관 웹진 반년간 온라인 2014∼
7 대학도서관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의학도서실)[8] 뉴스레터 연2회 온라인 2020∼
8 대학도서관 조선대학교 중앙도서관[9] 도서관소식 부정기 온라인 2019∼
9 대학도서관 한림대학교 일송기념도서관[10] Library newsletter 폐간 PDF 2003∼2015
10 병원도서관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의학도서관[11] 도서관소식 월간 온라인 2021∼
11 병원도서관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의학도서실[12] 뉴스레터 반년간 온라인 2017∼
12 연구소도서관 의과학연구정보센터[13] MEDRIC뉴스레터 월간 온라인 2015∼
13 연구소도서관 한국보건의료연구원[14] 공감NECA 월간 온라인 2014∼
Download Excel Table

발행주기는 월간, 계간, 반년간과 같이 일정한 주기를 갖고 발행하는 곳이 9곳(69.2%), 주요 알림사항이 있을 때마다 부정기적으로 발행하는 기관이 2곳(15.4%), 더 이상 발행하지 않는 기관이 2곳(15.4%)이 있다.

뉴스레터를 서비스를 시작한 기관 중 9곳(69.2%)이 2020년 이전부터 발행했으며, 4곳(30.8%)은 2020년 이후 최근에 발행을 시작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뉴스레터 명칭을 살펴보면 도서관소식과 뉴스레터를 사용하는 곳이 가장 많았고, 공감NECA와 같이 자체적인 명칭을 사용하는 곳도 있음을 알 수 있다.

2. 뉴스레터 콘텐츠 분석

지금까지는 13개 기관의 세부 관종별 발행사항을 알아보았으며, 뉴스레터 콘텐츠 구성현황은 표 2와 같다. 뉴스레터의 구성은 대체적으로 공지사항, 이용방법, 연구동향, 책 소개, 연구업적 안내와 같이 주로 5개로 이루어져 있음을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을 언급한다.

표 2. 뉴스레터 콘텐츠 구성현황
번호 기관명 콘텐츠 구성 특이사항
1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도서관 - 새소식, 이벤트, 구독 학술자원 소개와 변경사항, 연구지원 서비스, 책소개 - 비정기적인 ‘소식지 읽어주는 사서’ 유튜브 동영상
2 고려대학교 의학도서관 - 공지사항, 연구지원 서비스, 교육안내, - 2024년 9월 1호 발행
3 경희의료원 의학도서실 - 새소식, 이용안내, 교육신청, 신규 구독자원, 연구지원 서비스 - 월별 SCIE 등재리스트 안내
4 서울대학교 의학도서관 - 도서관 소식, 의과대학 연구동향 - 의학도서관 신축 과정을 사진으로 제공
5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문헌정보센터 - 도서관 소식, 교육, 구독 자원 변경사항과 이용방법, 교양도서 대출도서 TOP 5, 논문등재현황 - 컨텐츠를 만화로 재미있게 구성
- 2021년 1분기 이후 발행 중단
6 울산대학교 아산의학도서관 - 도서관 이용정보, 도서관 소식, 제공 서비스, SNS 메뉴 - 사서 추천도서, 대출도서 베스트20, 원내 저작물
- 독서감상문 대회
7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의학도서실) - 공지사항, 독서이용통계
- 유튜브 ‘책 읽는 다락방 J’의 책 소개 영상 링크
- 독후감 공모전, 퀴즈 등 다양한 이벤트
- 의학도서실 홈페이지 뉴스레터를 클릭하면 중앙대학교 뉴스레터로 연결
- 지역주민 가입 안내
8 조선대학교 중앙도서관 - 공지사항 - 게시판의 형태로 소식 전달.
9 한림대학교 일송기념도서관 - 뉴스, 저자와의 대화, 자료현황, - 연 1회 발간하여 2015년 16호로 중단
- 목차를 내용으로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소식지를 열람가능
10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의학도서관 - NEWS, 교육, 신간안내 - ‘도서관소식’ 메뉴에 소식지를 월별로 게시
- 2021년 1호를 시작으로 현재 35호를 이미지로 제공
11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의학도서실 - 홈페이지 도서관안내 하단메뉴로 뉴스레터 메뉴
- 로그인해야 열람이 가능
12 의과학연구정보센터 - KCT BASE, EviPedia, KMbase, 의과학연구정보센터 주체별로 하위메뉴 구성
- 하위메뉴별로 각각 콘텐츠
- 많은 구독자수를 보유
- 의과학분야의 연구동향 정보를 월별로 제공
- 이메일로 구독신청 가능
13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NACA NOW, NECA 공지사항, 보건의료이슈, NACA 뉴스레터 section - 기사 클릭 시 상세 기사 내용으로 연결
Download Excel Table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의학도서관은 의료진들의 진료와 교육 및 연구활동을 지원하는 전문도서관이다. 의학도서관의 이용자들 역시 변화가 빠른 의료계의 특성에 맞는 전문적이고 새로운 서비스를 요구한다. 그렇기에 우리가 전통적으로 알고 있는 뉴스레터와 같이 고정적인 카테고리를 만들어 콘텐츠를 제공하기가 어렵고, 이는 이용자들의 요구와도 맞지 않다. 그래서 발행시기에 따라 해당 기관의 구독 자원의 활용방법이나 연구동향을 소개하여 이용자가 도서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여러 활동들을 한 눈에 파악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독려한다. 의학도서관이 이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항상 변화하고 있음을 홍보하고, 도서관의 필요성과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 뉴스레터의 발행목적임을 알 수 있다.

뉴스레터를 발행하는 기관을 살펴보면 도서관 조직의 규모와 홍보의 중요성에 비례하는 듯하다. 여기에서 규모라고 하는 것은 단순히 물리적인 규모뿐만 아니라, 뉴스레터를 만드는 인력, 예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원부서의 유무 등이 포함된다. 웹 디자인, 템플릿 구성, HTML 작업, 인터뷰어 섭외, 이벤트와 같은 것들은 규모가 큰 모기관의 도움으로 분담하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뉴스레터를 발행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가 풍부하고, 지속적으로 알리고 홍보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음을 의미한다. 병원도서실은 모기관의 규모가 크지 않아 1인 사서 체제로 물리적인 도움을 받기 어렵고, 1인인 사서가 새로운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만들거나 홍보할 수 있는 구독자원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발행과 유지가 어렵다.

뉴스레터 플랫폼

스마트폰의 보급과 SNS의 발달로 사람들은 긴 글을 읽거나 한꺼번에 많은 정보를 얻기보다 꼭 필요한 정보를 간단하게 습득하기를 원한다. 특히 기성세대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익숙한 학생들이나 젊은 세대들은 웹 페이지를 통한 인터넷 신문보다 몇 장의 이미지로 간결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카드뉴스가 익숙하다. 2019년부터 시작된 코로나 시기에도 감염예방과 관련 공지사항을 안내할 때 긴 장문의 공문을 공지하기보다 짧은 카드뉴스나 포스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15]. 이러한 정보습득 방법의 변화로 이미지와 템플릿은 정해져 있고, 이용자가 간단하게 내용만 고치거나 수정해서 쓸 수 있는 미리캔버스와 같은 웹 기반의 그래픽 플랫폼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현재 많은 도서관에서 포스터나 공지사항을 만들 때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도서관에서의 뉴스레터는 도서관의 주요 홍보수단으로 공지사항, 기타 안내 등 도서관이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현재 의학도서관 및 병원도서관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는 책자의 형태에서 온라인이나 PDF로 형식을 변경하여 도서관 게시판이나 별도의 홈페이지 메뉴에 게시하는 방법으로 발행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보급과 SNS의 발달로 이용자들은 많은 도서관의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직접 찾아가 이용하기보다 이메일을 통해서 자동적으로 1분 안에 읽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한다. 그렇기에 의학도서관도 빠르게 변화하는 이용자들의 요구와 연구동향에 발맞춰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뉴스레터가 아닌 이메일을 통한 정보제공 방법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사서 1인이 근무하는 의학도서관에서는 뉴스레터의 발행이 쉽지 않다. 그리하여 여기에서는 사서들이 이용하기 간편한 웹 기반 뉴스레터 플랫폼을 3가지 소개하고자 한다.

1. 스티비(stibee)[16]

스티비는 국내 뉴스레터 플랫폼의 선두주자로 자체적으로 만든 다양한 디자인의 템플릿을 제공한다. 주제에 맞게 템플릿이 구분되어 있고 텍스트와 이미지만 수정해서 뉴스레터 작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미지 작업능력이 부족한 초보자들이나 홍보부서의 도움을 받기 어려운 경우에도 별도의 설명없이 쉽게 뉴스레터를 발행할 수 있다(그림 1, 2).

jkmla-51-1-50-g1
그림 1. 스티비 템플릿
Download Original Figure
jkmla-51-1-50-g2
그림 2. 스티비 뉴스레터 콘텐츠 구성화면
Download Original Figure
2. 웨이브온(waveon)[17]

스티비와 같이 웨이브온에서 자체 제작한 템플릿을 제공하고, 산업별로 템플릿을 구분해 놓았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맞는 템플릿 찾기가 쉽다. 스티비가 콘텐츠 주제별로 템플릿을 제공하는 반면, 웨이브온은 산업별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기업이나 소규모 회사, 개인 사업장이 고객을 위한 마케팅이나 광고로 활용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그림 3).

jkmla-51-1-50-g3
그림 3. 웨이브온 템플릿
Download Original Figure
3. 메일리(maily)[18]

메일리는 처음 뉴스레터를 시작하는 개인이나 콘텐츠 창작을 통한 수익창출에 적합한 플랫폼으로 개인회원은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블로그의 형태와 비슷하기 때문에 자유자재로 내용을 작성할 수 있으나, 스티비나 웨이브온과 같이 이미지가 포함된 자체제작 템플릿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그렇기에 텍스트 위주의 뉴스레터 발행에 적합하며, 기존에 브런치나 스티비 등 외부사이트에서 제작한 뉴스레터도 메일리를 통해서 발행할 수 있다(그림 4).

jkmla-51-1-50-g4
그림 4. 메일리
Download Original Figure
4. 비용

위에서 알아본 뉴스레터 제공 전문 플랫폼은 무료와 유료서비스로 구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유료의 경우, 개인과 기관 구분, 월간 발송량, 회원 수에 따라 표 3과 비용이 차등적으로 부과된다. 뉴스레터를 처음 만들거나 초보자의 경우, 처음부터 유료로 이용하기보다 무료로 몇 차례 뉴스레터를 만들어 발행하여 이용자들의 이메일 개봉률과 콘텐츠 접속 통계를 확인한 후, 유료로 전환하는 것이 좋겠다. 또한, 플랫폼 별로 AI 지원서비스, 그룹 개수, 자동발행 등 플랫폼별로 특화된 서비스를 확인하고, 뉴스레터를 발행하는 사서와 자관의 특성에 맞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표 3. 뉴스레터 플랫폼 비용
플랫폼 무료 유료 1 유료 2
스티비(500명 기준) ∼500명/발송횟수 월 2회 ∼500명/8,900원/사용자수 3명 ∼500명/29,000원/사용자수 10명, 그룹 50개
메일리 10회/월 1,000건 월 2,500건/7,900원 월 2,500건/11,900원
웨이브온 100회 발송 월 5,000회/17,900원 월 50,000회/34,900원
Download Excel Table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뉴스레터를 발행하고 있는 13개의 의학도서관 뉴스레터 발행현황을 조사하고, 콘텐츠의 구성에 대해 알아 보았다. 2020년에 들어서면서 의학도서관의 뉴스레터를 발행하는 도서관이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 기존과 같이 의학도서관 홈페이지 내에서 게시판이나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는 이용자가 직접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뉴스레터를 클릭하기 전까지는 정보의 전달성이 단절된 상태로 이용자들의 접근성과 신속성이 떨어지는 방식이다. 또한, 콘텐츠의 구성도 공지, 안내, DB 소개, 베스트 도서 소개 등 예전 책자형태의 뉴스레터 구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스마트폰과 SNS으로 실시간으로 새롭고 간결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용하는 것은 물론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요즘 방식과는 거리가 떨어져 있다.

그리하여 이용자가 도서관의 홈페이지를 통해 직접 뉴스레터를 접하기보다 도서관이 등록된 이용자의 이메일을 통해 이용자에게 도서관 정보를 제공하는 구독형 뉴스레터를 제안하고, 이를 위한 3가지 뉴스레터 플랫폼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 플랫폼은 월간 발행되는 횟수에 따라 무료에서 단계적으로 비용이 발생하며, 플랫폼에 따라서는 자체적으로 제작한 템플릿을 제작하여 사서들이 쉽게 뉴스레터를 만들고 발행하는 데 도움을 준다. 앞서 소개한 3개 플랫폼 중 자관이 발행하고자 하는 목적과 콘텐츠 및 이용자들의 정보서비스 요구도 중요하지만, 뉴스레터를 제작하고 지속적으로 발행해야 하는 사서가 이용하기 좋은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

뉴스레터를 만들고자 할 때 기존과 같이 고정된 틀과 구성을 가지고 정기적으로 발행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리는 것이 필요하다. 비정기적이라도 단 한 개의 콘텐츠를 다룬다고 하더라도 이용자들이 짧은 시간에 한 눈에 읽기 쉬운 뉴스레터를 발행한다면 이용자들은 뉴스레터를 광고메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매체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의학도서관 사서들은 짧은 시간에 정보를 식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정보 큐레이션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해관계

이해관계 없음.

REFERENCES

1.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Libraries act. [Internet]. Sejong: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cited 2024 Dec 15]. Available from: https://www.law.go.kr/법령/도서관법.

2.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Medical Library. Library newsletter [Internet]. Seoul: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Medical Library.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lib.cuk.ac.kr/bbs/content/11_25792

3.

Korea University Medical Library. KUML insight [Internet]. Seoul: Korea University Medical Library.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medlib.korea.ac.kr/about/publication/kuml-insight/

4.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Library. Newsletter [Internet]. Seoul: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Library.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kmclib.khu.ac.kr/sb/newsletter_newsletter_list.mir

5.

Seoul Natioanal University Medical Library. Library news [Internet]. Seoul: Seoul Natioanal University Medical Library.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medlib.snu.ac.kr/news/

6.

Ajou University Medical Information & Media Center. Newsletter [Internet]. Suwon: Ajou University Medical Information & Media Center.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medlib.ajou.ac.kr/AMIMC/community/view.csp?sccode=newsletter&HLOC=AMIMC&COUNT=3b3m7MV600&Kor=1

7.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Library. Library webzine [Internet]. Seoul: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Library.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aml.amc.seoul.kr/bbs/list/3?searchKind=title&searchKey=&dateFrom=&dateTo=&oi=title&os=desc&countPerPage=20

8.

Wonkwang University Library. Newsletter [Internet]. Iksan: Wonkwang University Library.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elibrary.wku.ac.kr/sb/default_newsletter_list.mir

9.

Chosun University Library. Library news [Internet]. Gwangju: Chosun University Library.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library.chosun.ac.kr/bbs/list/3

10.

Hallym University Ilsong Memorial library. Library newsletter [Internet]. Chuncheon: Hallym University Ilsong Memorial library.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library.hallym.ac.kr/bbs/list/3

11.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Medical Library. Library news [Internet]. Seoul: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Medical Library.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www.schmc.ac.kr/seoulLibrary/selectBbsNttList.do?bbsNo=518&key=3733

12.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Medical Library. Newsletter [Internet]. Seoul: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Medical Library.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sgp.futurenuri.co.kr/bbs/list/20

13.

Med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MEDRIC newsletter [Internet]. Cheongju: Med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www.medric.or.kr/master.php?pg_idx=17

14.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EmpathyNECA [Internet].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www.neca.re.kr/lay1/bbs/S1T11C170/F/40/list.do?rows=10&cpage=1&cat=30

15.

Choi WJ, Hong JS. Strategic exploration of public messages for disease prevention: focusing on the Covid-19 card news campaig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2022; 30(3):169-203.

16.

Stibee. [Internet]. Seoul: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stibee.com/

17.

Waveon. [Internet]. Seoul: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www.waveon.io/

18.

Maily. [Internet]. Seoul: [cited 2024 Dec 1]. Available from: https://maily.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