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의학도서관 공간 혁신 사례

사례 번호 도서관명 유형 (완료연도) 주요 내용 및 변화 주요 특징 및 의의
1 University of Utah Spencer S. Eccles Health Sciences Library & Education Building[3] 신축 (2005) 교육 및 다목적 공간 활용(교실, 임상 스위트, 티칭 랩, 원격교육 교실, 리셉션 홀/동문 홀, 학생 라운지와 락카 등), 재정 자립을 위한 시설(강의실, 서점, 카페, 주차장) 운영(*임상 스위트 clinical suite: 오디오 비디오 실시간 디지털 레코딩이 가능하고, 컴퓨터 및 프로젝터 등이 갖추어진 기술 집약 공간) 신축 대학 교육 건물을 도서관과 연결, 도서관 직원이 기술 및 원격 교육 지원, 실별 스케쥴 관리, 빌딩 행정 담당 및 시설 운영
2 University of Medicine and Pharmacy Central Library, Cluj-Napoca, Romania[3] 신축 (2008) 6층 새 건물 중 3개층 사용, 기존 도서관과 완전히 다른 디자인, 개방형 테이블 좌석, 예쁜 조명, 도시 뷰, 무선 노트북 연결,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 공간, 편안하고 따뜻한 환경 이용자 증가, 도서관을 대학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인식하게 됨
3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Gustave L. and Janet W. Levy Library[3] 리노베이션 (2009) 이용자 중심의 공간 전환(레퍼런스와 컴퓨터 헬프 데스크의 중앙 배치, 집중 학습과 그룹 스터디를 위한 공간 개선,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 확장, 따뜻하고 환영하는 분위기의 입구와 로비, 다양한 테이블과 안락한 의자/소파가 있는 확장된 열람실 등), 컨설트 공간, 직원들 협력공간(원격회의를 위한 기술 장비 구비) 이용자와 직원의 업무와 학습에 보다 환영적이고 매력적인 공간
4 University of Colorado Denver Health Sciences Library[3] 신축 (2007) 자연 채광, 갤러리, 카페, 파티오 공간 지역사회 서비스 미션 지향, 자연 친화적 디자인
5 McMaster University Health Sciences Library[3] 리노베이션 (2007) 러닝 커먼즈, 그룹스터디룸, 집중학습실, e-클래스룸, 희귀본실, 건강의학역사실, 아카이브 등 스페셜 컬렉션 공간, 예술 작품이 특징 협업을 장려하고 학습, 발견을 고취시키는 사람 중심의 공간 조성
6 Duke University Medical Center Library and Archives[3,4] 리노베이션 (2008) 암센터 사무 공간 추가, 서고 이전 및 자료 일부 폐기, 자료 및 사무 공간 이동, 학습 공간 재배치, 새로운 최신 기술 컨퍼런스 룸, 모듈식 그룹스터디 캐럴 추가 대학의 요구 반영, 대학과 협력적인 마스터 플랜 진행, 일부 공간(30%)은 대학의 용도로 전환하면서 나머지 공간은 도서관의 필요에 따라 재구성
7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Health Sciences and Human Services Library[3,5] 리노베이션 (2009) 서고 공간을 학생상담센터, 국제학생행정실 등으로 전환, 최신 협업 학습 공간 확장(무선 연결, 새 컴퓨터와 네트웍 환경 인프라 구축), 푸드코트, 학생회, 학생지원과 등이 있는 새 캠퍼스 건물이 도서관 건물과 연결 새 건물과 연결됨으로써 학생 중심 활동의 허브 역할 강화
8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Library[6-8] 리노베이션 (2010) + 재 리노베이션 Teaching & Learning Center(시뮬레이션 및 교육 공간) 구축 + 재 리노베이션(스페셜 컬렉션 보관소, 방수 프로젝트, 출입구, 서비스 데스크 등 추가 설치, 뷰 조망 강화) 캠퍼스 교육 미션과 연계된 리노베이션(캠퍼스 교육 지원) + 재 리노베이션 후 2024년 가을 재 오픈 예정
9 University of Michigan Taubman Health Sciences Library[9] 리노베이션 (2015) 1층: 라운지, 사서행정실, 2, 3층: 최신 프린트 장서만 남기고 나머지 공간은 교실, 그룹스터디룸, 시뮬레이션 센터, 컴퓨터 랩. 실험실, 학생 라운지, 학습 공간, 의대 사무공간으로 변경, 4층: 카페 이용자들의 필요, 기관의 우선순위에 맞춰서 기관의 학술, 연구, 임상 업무, 다학제간 파트너십에 통합한 미션, 역할 재정립에 따른 공간 재구성
10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Dolph Briscoe, Jr. Library[3,10] 리노베이션 (2009) 인사개발부서 및 강의실, 24시간 열람실 수용, 직원 사무실 공간 통합, 새로운 그룹스터티룸과 정보검색실 추가 도서관과 행정부서간의 도서관 공간 용도 전환에 대한 협의.부정적인 면: 서고 및 기타 공간 축소, 추가적인 보안시스템 운영에 대한 부담, 긍정적인 면: 사서업무공간 통합으로 협력 가능성 증진, 인사개발부서와 강의실 수용으로 교육 미션 확장, 학생 이용 증가
11 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 Library[3,11] 리노베이션 (2001) 새 카펫, 도색, 새 가구, 직원 사무실 변경(개인 업무 공간 최소화, 협업과 이용자 방문 공간 수용, 이동 가구) 리노베이션 주제 『협업, 팀 기반의 이용자 중심 조직』, 이용자-직원, 직원-직원 협업 활성화, 이용자 수 증가
12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Medical Center Library[12] 리노베이션 (2009) 병원 행정부의 요구(약제부 공간) 반영, 단체 학습실, 라운지 및 학습 공간, 서고 공간 축소,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 증대, 건축 디자인의 미적 요소 추가, 화재, 냉난방, 공조시스템 등 개선 병원 행정부의 요구를 수용한 전략적, 효율적 공간 전환(기관 요구와 도서관 필요의 균형 조정)
13 University of Arizona Health Sciences Library[3,13] 리노베이션, 신축 (2006) 대학의 요구(대형 오픈 강의실 공간) 수용, 단행본 및 저널 일부 폐기 및 재배치, 밀집서고 추가 한 학기 사용 후 거의 강의실로는 쓰이지 않음, 집중 학습에 적합하지 않은 공간이 됨(도서관 안의 흰 코끼리)
14 Yale University Harvey Cushing/John Hay Whitney Medical Library[14] 프로그램 론칭 (2015) 의료인의 웰빙 증진, 명상, 요가 공간 및 명상프로그램 운영 도서관의 협력적 주도성으로 조직 내 웰빙 향상
15 University of Florida Health Science Center Library[15] 이용자 설문조사 (2010~2012) 리노베이션 공간 기획을 위한 온라인 설문 조사와 포커스 그룹 대상 설문조사 시행 이용자 설문에 기반한 최종 디자인 도출(기술과 전원 이용 접근성 증가, 개선된 조명, 다양한 좌석, 환영적이고 안락한 환경)
16 University at Buffalo Health Sciences Library[16] 이용자 설문 조사 (2015) 신축 의대 건물 내 도서관 건축을 위한 의대생 대상 설문조사 학생 요구의 중요도 도출* 매우 중요: 전원 장치, 강력한 무선인터넷, 컴퓨터와 프린터, 개인집중열람실, 그룹열람실, 편안한 좌석, 24시간 열람실(음식물 허용, 충분한 좌석), 온라인 자원, 창문/자연채광* 중요: 화이트보드, 스캐너, 식물, 예술작품* 보통: 사서의 지원, 텍스트북/참고도서, 노트북, 태블릿 대여, 휴게공간(미팅용), 미디어 감상 공간* 중요하지 않음: DVD 자료
17 University of Kansas Medical Center 포함 Kansas 지역 내 4개 의학도서관[17] 다기관 관찰 연구 (2015) 이용자 공간 선호도 조사, 그룹스터디룸 및 집중학습공간 개선 개인 학습 공간 및 협업 공간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를 반영한 좌석, 공간 개선 및 재배치
18 국내 12개 대학 도서관[18] 학습 공간 변화 분석 (2020) 학습 환경 변화 반영, 디지털 기술 및 학습법 변화를 반영한 공간 구축(메이커 스페이스, 1층 로비에 다양한 개방적인 학습 공간 구축, 카페형 공간, 이동 가구 배치) 창의와 협력 중심의 학습 공간으로 전환